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에 대한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2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관용어는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한 가지의 언어현상이기도 하며,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한 가지의 언어 표현방식이기도 한다. 이중에서 사람의 신체...

      관용어는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한 가지의 언어현상이기도 하며,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한 가지의 언어 표현방식이기도 한다. 이중에서 사람의 신체부위 특히 '손'과 관련된 관용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필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행동을 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일을 할 때에 거의 다 신체부위 ‘손’에 의존해서 실현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모두 기본 구조가 똑같은 신체부위 '손'을 가지기 때문에 한·중 양국 언어 중의 '손' 관련 관용어가 여러 방면에 유사성을 가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한·중 양국은 문화, 역사 그리고 생활방식이 오래 세월을 거쳐 차이가 생겼기 때문에 양국 언어 가운데의 '손' 관련 관용어가 표현방식이나 의미 측면에서 다름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한·중 양국 관용어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대조·연구한다는 것은 양국 언어 간의 의사소통의 교류 장벽을 유효하게 모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국의 사고방식 측면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점과 같은 점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양국의 역사 문화와 양 민족의 공통성과 개별성을 인식하고 양국 간의 문화 교류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최근 몇 십년간에 한국과 중국의 언어학계에서 관용어에 대해 이미 전면적인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다. 그 연구 성과들을 보면 양국 학자들이 대부분 형태론, 의미론 그리도 화용론적인 각도에서 관용어에 대해 대조·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에 한·중 양국에서 인지 은유의 시각 하에 관용어를 연구하는 논문이 점차 나타나고 있지만 한·중 관용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은유의 대조 연구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빈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지 은유의 시각에서 하는 한·중 '손' 관련 관용어에 대한 대조 연구는 더욱 적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사람의 신체부위 ‘손’ 관련 관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기존에 있었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지언어학의 시각 하에 Lakoff.G. & Johnson.M.(1980)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참조·인용하며, 또한 기본적인 의미 대조의 연구 방식을 기초로 하고 새로운 각도에서 관용어에 관한 인지적 기제에 대해 분석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중 양국 언어 중의 관용어의 은유적인 차원에서 비슷한 점과 상이한 점을 찾아내어 양국 언어의 문화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인지·이해할 수 있길 기원한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나누어 논의를 하였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서론 부분이다. 본 장에서 주로 연구의 목적과 의의, 한·중 양국 관용어에 대한 선행연구 현황 그리고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제시를 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이다. 먼저 개념적 은유 이론을 정의와 분류로 나누어 설명하고 살펴보았다. 이어서는 한·중 관용어의 개념을 제시한 다음에 그들의 특성을 의미、구조、기능, 그리고 화용 4가지의 측면을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제3장은 본고의 중심을 두는 부분으로서 먼저 사람의 신체부위 ‘손’에 대한 의미를 정리한 다음에 주로 한·중 ‘손’ 관련 관용어를 다음과 같은 4단계로 나누어 대조·분석을 진행하였다.
      ① 한·중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같은 관용어의 경우;
      ② 한·중 근원영역이 같지만 목표영역이 다른 관용어의 경우;
      ③ 한·중 근원영역이 다르지만 목표영역이 같은 관용어의 경우;
      ④ 한·중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다른 관용어의 경우;
      ㄱ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의 경우;
      ㄴ 중국어에만 있는 관용어의 경우;
      그 다음에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삼은 ‘손’ 관련 관용어를 그들과 대응되는 인지적 개념에 따라 나열·분류하고 나서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제4장은 결론을 내린 부분으로서 주로 위에 제시된 내용에 대해 개괄과 마무리를 진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惯用语是中·韩两国语言中普遍存在的一种语言现象,也是人们日常生活中常用的一种语言表达方式。其中与身体部位有关的,尤�...

      惯用语是中·韩两国语言中普遍存在的一种语言现象,也是人们日常生活中常用的一种语言表达方式。其中与身体部位有关的,尤其与‘手’有关的惯用语所占的比例较大,这是因为人们行动和日常生活做事都需要通过手的使用来实现。由于人的手部构造基本一致,因此中·韩两国语言中与‘手’有关的惯用语在许多方面会存在着一定的相似性表现。但由于中·韩两国的文化、历史以及生活方式等方面经过长时间的历史演变毕竟存在着一定的差异,因而也会在表达方式或者意义上有所不同。对比两国惯用语之间的联系与差异,对于有效避免语言交流中的沟通障碍,了解并掌握两国思维方式的异同之处,认识中·韩两国历史文化及民族的共性与个性,以及促进两国之间的文化交流,是非常有意义的。
      这几十年来,中·韩两国语学界学者对惯用语的研究,已经取得了比较全面的研究成果。纵观其间惯用语的对比研究,两国学者大都从结构、语义、语用等角度来进行对比分析研究。虽然近几年在中·韩两国之间渐渐出现了从认知隐喻的角度来分析惯用语的研究,但是对于中·韩惯用语在认知隐喻方面的对比研究,目前还十分缺乏。特别是中·韩与‘手’有关的惯用语在认知隐喻方面的研究,更是极为少见。
      本文以中·韩两国语言中与人的身体部位‘手’有关的惯用语为研究对象,在先行研究的成果基础上,从认知语言学的角度参考并运用Lakoff.G和.Johnson.M.的概念隐喻理论,在基本语义对比的基础上,以全新的视角对惯用语的认知机制进行对比分析,并且找出中·韩语言中此类惯用语隐喻意义的异同点,从而加深对中·韩两国语言文化的认知与理解。
      本文共分为四章,具体内容如下:
      第一章,介绍了本研究的目的和意义,中·韩两国惯用语研究的现状以及本文的研究范围和方法。
      第二章,首先介绍了Lakoff.G和.Johnson.M.的概念隐喻理论,详细的叙述了概念隐喻的定义与分类情况。接着主要对中·韩两国惯用语的概念以及各自的特征进行了阐述。概念部分主要介绍了中·韩权威字典中的释义以及两国学者们所下的定义。特征部分本文将从语义、结构、功能、语用四个方面来对中·韩惯用语进行分析与总结。
      第三章,作为本文的重点章节首先通过参照中·韩权威字典对于人的身体部位‘手’的意义进行了简单的梳理,其次以第二章的内容为理论基础采取对比语言学的方法,对中·韩与‘手’有关的惯用语从下面4个方面进行了认知隐喻上的对比分析:
      ① 中·韩根源域与目标域都相同的惯用语的情况;
      ② 中·韩根源域相同,目标域不同的惯用语的情况;
      ③ 中·韩根源域不同,目标域相同的惯用语的情况;
      ④ 中·韩根源域与目标域都不同的惯用语的情况;
      a 只在韩语中存在的惯用语的情况;
      b 只在汉语中存在的惯用语的情况;
      接着对中·韩两国语言中与‘手’有关的惯用语按照其各自对应的隐喻概念进行了分类整理,并找出其共同点与差异点。
      第四章是结语,主要对前述的内容进行了概括与总结。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
      • 1.2. 선행 연구 3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8
      • 2. 이론적 배경 12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
      • 1.2. 선행 연구 3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8
      • 2. 이론적 배경 12
      • 2.1. 개념적 은유의 정의와 분류 12
      • 2.1.1. 개념적 은유의 정의 12
      • 2.1.2. 개념적 은유의 분류 13
      • 2.2. 한·중 관용어의 개념 16
      • 2.2.1. 한국어의 경우 16
      • 2.2.2. 중국어의 경우 18
      • 2.3. 한·중 관용어의 특성 19
      • 2.3.1. 의미적 특성 20
      • 2.3.2. 구조적 특성 23
      • 2.3.3. 기능적 특성 26
      • 2.3.4. 화용적 특성 27
      • 2.3.5. 한·중 관용어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 28
      • 3.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의 개념적 은유 대조 30
      • 3.1. 한·중 ‘손/手’의 사전적 의미 30
      • 3.2.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 근원영역이 같은 경우 31
      • 3.2.1.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같은 경우 31
      • 3.2.2. 근원영역이 같지만 목표영역이 다른 경우 39
      • 3.3.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 근원영역이 다른 경우 42
      • 3.3.1. 근원영역이 다르지만 목표영역이 같은 경우 42
      • 3.3.2.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다른 경우 48
      • 3.3.2.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 49
      • 3.3.2.2. 중국어에만 있는 관용어 56
      • 3.4.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의 은유적 공통점과 차이점63
      • 4. 결론 68
      • 참고문헌 71
      • 中文摘要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